[ZERO HIGHLIGHT] 2024 GDTEX, 미래를 위한 화합을 펼치다
상태바
[ZERO HIGHLIGHT] 2024 GDTEX, 미래를 위한 화합을 펼치다
  • 이재욱 기자
  • 승인 2024.06.24 11:3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난 4월 6일, 7일 수원컨벤션센터에서 ‘2024 GDTEX 연합 국제학술대회 및 치과기자재 전시회’가 개최됐다. 이번 학술대회는 경기도치과기공사회(회장 김용철, 이하 경기회), 강원도치과기공사회(회장 황성식, 이하 강원회)에 이어 대한치과기공학회(회장 송두빈, 이하 기공학회)와 대한치과위생사협회 경기도회(회장 김순례, 이하 경기도위생사회)가 함께했으며, 1,700여명의 회원들이 참여, 115개의 업체와 함께 했다. 이번 2024 GDTEX는 ‘Harmony Toward the Future’라는 주제로 2일간 진행되는 행사를 통해 국제학술대회와 기자재 전시회의 기술과 산업의 변화에 맞춰 새로운 기술에 대한 유용한 정보와 지식을 회원들에게 공유하는 자리로 진행됐다.

 

2024 GDTEX는 이전 행사와는 다르게 기공학회와 경기도위생사회가 같이 참여한 행사이며, 학술강의에서는 경기회, 강원회에 이어 기공학회, 위생사회 회원 연자들도 참석해 강의를 진행하는 학술대회로 진행됐다.

2024 GDTEX 개회식 순서로 대회선언, 국민의례, 윤리강령 낭독, 협회가 제창, 개회사, 대회사, 격려사, 축사, 시상, 폐회 순으로 진행됐다. 대회선언은 경기회 황재선 조직위원장이 선언했으며, 먼저 개회사와 대회사는 경기회 김용철 회장과 강원회 황성식 회장이 진행했다.

 

 

강원회 황성식 회장은 개회사로 “이 자리에 함께하는 내외빈, 경기회와 강원회 회원들에게 이번에 진행하는 2024 GDTEX 연합국제학술대회를 개최함은 큰 의미가 있으며, 시대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초연결과 융합을 요구하는 가운데 더욱 치과기공의 가치가 높아지고 있다. 치과기공사의 비전은 치과 의료 분야에서 혁신적이고 고품질의 기술과 서비스를 제공해 환자의 구강 건강을 증진시키고 치과 의료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이에 이번 학술대회를 통해 치과기공사의 처지를 돌아보아 보수하고 새로운 도약의 발판으로 삼아 나아가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경기회 김용철 회장은 “올해 2024 GDTEX는 ‘Harmony Toward the Future’란 주제로 경기, 강원 치과기공사회, 경기도 치과위생사회, 대한치과기공사회와 연합으로 공동 개최하게 됐다. 이번 2024 GDTEX를 축하해주고 격려해준 모든 분들에게 감사의 인사를 올리고 2019년부터 교류를 해 오던 북경 치과기공사회 임원 및 치과기공소 대표들도 이자리를 빛내 주기 위해 참석해 준 것에 대해 감사의 인사를 전한다. 

이외에도 경기도치과기공사회는 환경위원회를 신설해 보다 나은 환경개선을 위해 고민하고 함께 많은 계획을 준비하고 있다. 하반기 경기도경영자회 공청회를 통해 거래공급계약서(치과기공물)를 실시할 계획이며, 치과와 치과기공소가 원활하고 지속적으로 거래를 할 수 있도록 교두보를 마련하겠다”라며 대회사를 말했다.

 

대한치과기공사협회 주희중 협회장은 “2024 GDTEX 연합국제학술대회 및 치과 기자재 전시회 개최를 진심으로 축하한다. 협회는 치과기공사 직역의 전문성을 강화하고 직무에 필요한 보수교육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아울러 보수교육 미이수자 관리와 국민 구강 건강권을 지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관련 규정 개정을 지속적으로 국회 및 관계 부처에 건의하 고 있다.

이번 학술대회를 통해 정보와 경험을 공유하고 보다 나은 치과기공계의 미래를 설계하는 소중한 기회가 되기를 기대한다. 이어 KDTEX 2024 국제학술대회는 오는 7월 26일부터 28일까지 빛고을 광주에서 개최할 예정이며, 회원들의 행복한 만남을 기대한다”라며 격려사를 전했다.

다음으로 수원특례시 이재준 시장이 축사를 전했으며, 이재준 시장은 “이번 행사에 참여한 모든 분들께 수원에 오신 것을 환영하며, 대회를 준비하기 위해 힘써준 주희중 협회장과 김용철 회장, 황성식 회장에게 감사말을 전한다. 수원 컨벤션센터는 지리적 이점과 호수공원 그리고 주변에 즐길 수 있는 곳이 많아 회원들과 회원 가족들이 함께 즐거운 시간을 보내기 바란다. 치과기공사들은 보철물을 제작하기 위해 많은 시간과 노력을 들여서 하나의 작품을 만들고 있다고 생각한다. 전문가를 넘어서 장인의 자부심으로 학술대회를 함께 즐겼으면 좋겠으며, 수원의 바이오 헬스에 관심을 가지고 동참하는 행복한 학술대회가 됐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어 북경치과기공사회 Tong Dai 회장이 축사를 전했으며, Tong D ai 회장은 “북경치과기공사회를 대표해 2024 GDTEX 개최를 진심으로 축하드린다. 북경치과기공사회와 경기도치과기공사회는 2019년도에 우호관계를 맺어 5년이 지난 현재까지 성공적인 교류를 이어 나가고 있다.

코로나 19로 인해 지난 3년간 힘든 시간을 보냈지만 그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양국은 온라인으로 지속적인 교류를 이어왔다. 앞으로도 북경치과기공사회와 경기도치과기공사회의 폭 넓은 교류 활동이 지속 되기를 바라며, 2024 GDTEX의 성공적인 개최를 축하한다”고 전했다.

다음으로 시상식이 진행됐으며, 먼저 김종우 회원과 최진권 회원이 경기도지사 표창을 수상했고, 경기도치과위생사회 수상자로 김수연, 김형주, 임애정 회원이 수상했다. 이어 군포시장 표창으로 안재건 회원과, 백웅 회원이, 대한치과기공사협회장 표창으로 경기회 김민호 회원, 이재민 회원, 강원회 손영호 회원, 한춘수 회원이 수상했다. 다음으로 경기도치과기공사회 회장 표창 최우수 회원상으로 경기도치과기공사회 남부 분회의 한광호 회원이 받으면서 수상식을 마쳤다.

마지막으로 2024 GDTEX에 축하 화환 및 축전을 보낸 곳을 소개했다.

 

2024 GDTEX 기자간담회

 

이번 기자간담회에서 경기회 김용철 회장은 학술대회에 대한 질문에 “이번 GDTEX 2024는 작년 9월부터 기공학회 송두빈 회장과 함께 이야기하면서 분과학회 통합학술대회를 진행하기로 했다. 이번 행사에서 학술부분은 분과학회가 담당하고, 기자재 전시회를 이틀동안 진행하며, 다양한 기술과 정보를 회원들과 공유할 수 있는 시간을 만들고자 행사를 준비했다”고 말했다.

이어 송두빈 회장은 “학회장으로 당선되면서 공약 사항에 통합 학술대회를 진행해 우리 학회가 화합하기를 원했다. 그리고 경기회 김용철 회장으로부터 경기회와 기공학회가 같이 하면 회원들이 더 좋은 학술대회를 즐길 수 있는 자리가 될 수 있다고 말하며, 여러 과정 끝에 함께 하게 됐다. 그리고 이번 학술대회에서는 국내 30명 해외 2명을 연자로 초청했으며, 이번 행사를 계기로 회원들이 편리하고 다양한 보수교육을 이수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2024 GDTEX가 진행되면서 북경치과기공사회에서도 많은 임원들이 참석했다. 이에 김용철 회장은 “이번 행사에서 북경치과기공사회가 참여하면서 학생 경진대회에 많은 관심을 보였으며, Tong Dai회장이 직접 학생 경진대회를 관람하고 싶다고 했다. 이어 이번 경진대회에 참여한 학생들과 중국에 있는 학생들이 만나 양국 간의 학생 경진대회를 진행하는 이야기를 나눴다”고 전했다.

 

더 다양한 학술강의 진행

이번 2024 GDTEX에서는 34명으로 구성된 연자가 강의를 진행한다. 먼저 화이치과 연구소 최고 기술책임자 C hien-Ming, K ang 연자는 ‘지르코니아 재료의 지속적 발전 - Ezneer 임상사례 보고 및 과학적 데이터’라는 주제로 세라믹 프라이머와 디실리콘 리튬 코딩을 사용해 지르코니아의 결합강도와 성공확률을 높이는 방법을 회원들과 공유하며, 얇은 지르코니아 패치를 임상 실습에서 좋은 접착 강도를 성공적으로 얻을 수 있는 강의를 진행했다.

 

이어 일본 퍼스트기공소 나까꼬미 선생의 ‘코발트 크롬을 이용한 코너스 덴쳐’라는 주제로 올포, 올식스 등 예후를 생각하고 청소를 고려하는 건에 대해 이보다 더 좋은 방법이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졌다.

화이치과 연구소 최고기술책임자 이승섭 연자는 ‘What is Optishade’라는 주제로 ‘디지털세이드 매칭’을 위해 정확한 사진을 얻기 위한 배경지식을 설명하고 객관화된 세이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옵티세이드장비를 소개 및 촬영하고 스테인 데모를 진행했다.

 

서울0.1치과 김건효 기공실장은 ‘Use o f various data in exocad’라는 주제로 모델없이 다양한 분야의 기공 작업을 위해 CT 데이터, 안면데이터 등을 이용한 CAD 디자인 시에 활용하는 방법을 소개했다.

원광대학교 김경진 교수는 ‘디지털 파 샬 P T & Live Demo’라는 주제로 현재 많이 사용하고 있는 파샬캐드 중 exocad와 3Shape D ental system의 가철식 모듈을 활용한 디자인을 진행하면서 차이점을 알아보고 올바른 디자인에 대한 생각을 발표했다.

 

센트릭덴탈솔루션 이기봉 대표이사는 ‘슬라이싱프 로그램과 3D 프린터’라는 주제로 같은 프린터라도 슬라이싱을 어떻게 사용하는지에 따라 퀄리티가 다른 프린팅 결과물을 얻을 수 있는 지와 프린터 특성을 살피고 최적의 결과물을 내는 슬라이싱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졌다.

삼성서울병원 이상엽 연자는 ‘임상에 근거 더하기: 임플란트 계획부터 보철 제작까지’라는 주제로 치과기공을 하면서 연구한 내용을 임상 과정에 녹여내 회원들의 학술향상에 도움을 주기 위한 내용으로 강의를 진행했다.

단국대학교 세종치과병원 김병희 연자는 ‘elab을 이용한 보철제작과 ‘Opacity’’라는 주제로 e-lab이 무엇인지 또 색의 3요소인 Value, Hue,Chroma 외에 치아의 쉐이드 표현에 있어 Opacity에 대한 개념의 중요성을 이야기 했다.

 

K-dentallab에서 근무하고 있는 장동혁 연자는 ‘디지털 투명교정 활용하기’라는 주제로 3D 소프트웨어를 이용해 구강 스캔파일 및 투명교정 장치 제작을 위한 디자인을 설명하며, dentOne 프로그램을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알아보는 시간을 가졌다.

에이르치과기공소 김학수 대표는 ‘밀링머신들 제대로 알아보기’라는 주제로 CNC/MCT 이해하는 방법에 대해 기공소에서 CNC/MCT는 왜 다르고 차이점이 무엇인지 알아보는 것과 CNC/MCT 제대로 사용하기 위한 ONE-STEP을 위한 필요 충분 조건을 이해하는 방법, 그리고 CNC와 디지털 덴티스트리 디지털화하되는 치과산업에서의 CNC의 필요성 및 장단점을 설명했다.

 

덴탈보다 박연경 대표는 ‘치과기공소 정부과제’라는 주제로 인공지능 데이터 시대를 살아가는 치과기공사의 전망을 살펴보며 치과기공사에게 필요한 역량과 직무능력을 통해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을 함께 모색했고, 최근 치과계의 디지털전환이 계속 발전하면서 초연결 플랫폼 산업이 태동하고 치과기공소의 정부과제에 대한 부분을 모색하는 방법도 함께 알아봤다.

US Army Carius Dental Clinic 치과기공실 이준석 연자는 ‘디지털 스플린트와 구강스캔’이라는 주제로 치과의 디지털화와 치과기공소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많은 치과기공물이 CAD/CAM으로 제작되고 있다. 이에 디지털 스플린트 제작을 위해 구강스캔시 주의사항 및 제작과정, 전통적인 제작방법과 디지털 제작의 차이점, leaf gauge의 필요성에 대해 다뤘다.

 

위드치과의원 김희재 연자는 ‘ Re-make 최소화를 위한 Model 조건과 명확한 기준’이라는 주제로 Model-less 작업이 보편화 되면서 Model에 대한 중요성이 낮아지고 있지만, 그럼에도 일상에서 model이 사라질 수는 없다. 이에 re-make를 최소화하기 위한 model을 제작함에 있어 명확한 기준을 이야기했다.

팔로우미 코리아 송수범 기술 지원 부장은 ‘잘 알지 못하는 hyperDent CAM 기능의 활용법’이라는 주제로 hyperDent의 기능을 활용하는 방법과 잘 사용하지 않았던 기능을 설명해 프로그램의 사용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활용법에 대해 설명했다.

부산 위드치과 최문식 기공실장은 ‘부정교합의 이해와 임상 적용’이라는 주제로 부정교합 케이스를 성공적으로 끝내기 위해 부정교합에 대해 알아보고, 이번 강의를 통해 연자가 알고 있는 지식과 정보를 공유하는 시간을 가졌다.

 

지씨인터네셔널 김시형 대표는 ‘Dental 3D Printer A to Z’라는 주제로 치과기공소에서 사용하는 3D프린터 방식을 알아보고, 3D 프린터 운영에서 중요한 부분이 무엇인지, 그리고 3D 프린터 운용 시 발생되는 문제 해결방안 및 체크 포인트를 설명했다.

서울DS플란트치과 원종하 기공실장은 ‘3D Printer를 이용한 서지컬 가이드 제작의 실제’라는 주제로 Chair p art와의 소통을 위한 임플란트의 기본과 3D 프린터를 이용한 디지털 서지컬 가이드 제작에 대해 강의했다.

서울대학교 치과병원 치과보철과 이은혁 교수는 ‘Biologically oriented preparation technique(BOPT): 심미적인 연조직 안정성을 위한 전략’이라는 주제로 2008년에 처음 소개된 BOPT는 단기적 및 장기적인 치주조직의 안정성과 심미적인 수복결과 향상에 도움이 된다는 문헌들이 발표되고 있다면서 적절한 적응증의 선택, 치료 계획 수립, 임상 및 기공 과정에 대한 어려움에 대해 이점과 주의점, 적응증, 임상 및 기공 과정에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임상 케이스와 함께 다뤘다.

감동덴탈랩 채동희 소장은 ‘디지털 에세틱 실전’이라는 주제로 디지털 심미 보철 제작 시 다양한 임상케이스에 맞는 각각의 접근 방법을 제시하며, 재료선택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케이스에 맞는 제작과 정별 적용 방법을 제시해 심미적 해결 방안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강의를 진행했다.

 

한솔치과기공소 디지털부서 구재윤 팀장은 ‘ Partial f ramework 디자인을 접하는 CAD designer에게 필요한 Mesh 이론 및 3D object 이론’과 ‘exocad Partial module 분석 및 유용한 팁소개’라는 주제로 그 동안 디지털 방식을 접해보지 못했던 Frame technologist, 또한 이 모든 프로젝트를 주관하는 분들 및 Instructor에게 이 과정은 언젠가는 넘어가야 할 과정으로 다가오므로 dental C AD를 이용하는 d esigner로서 D igital Partial Frame 디자인을 색다른 관점에서 바라보게 하는 과정을 다뤘다.

제로투원치과기공소 김근형 실장은 ‘ALL ON X 보철 제작의 몇 가지 Key point’라는 주제로 ALL ONX 보철 제작은 다른 고정성 임플란트 보철보다 적은 개수의 임플란트 악궁 전체를 수복하기 때문에 보철의 구조적, 생리적 안정성을 고려해 제작하는 상황에 대한 이야기를 진행했다.

스마일라인치과기공소 김총명 소장은 ‘Zirconia의 물성과 고찰’이라는 주제로 Zirconia에 관련
된 다양한 논문이나 평가가 나오고 있으며, 이에 Zirconia를 어떤 방법으로 평가하고 임상에 적용하는지 알아보는 시간을 가졌다.

 

서울바로치과 박성혁 기공실장은 ‘내가 하는 치과기공’이라는 주제로 진료실에서 보내지는 구강스캔 데이터를 활용한 수술가이드 및 전반적인 치과보철물 제작과정에 대해 설명하고 구강스캔데이터 분석 및 정렬과정을 통해 보철물 정확도를 높이는 강의를 진행했다.

강일예스치과 윤신혜 진료팀장은 ‘Primescan! Connected Technology Solutions!’이라는 주제로 지난 수 년간 프라임 스캔을 통해 좀 더 효율적인 스캔을 할 수 있는지에 대한 노하우를 나누는 시간을 가졌다.

동남보건대학교 강사인 고동환 연자는 ‘Good scan and sophisticated dental prosthesis’라는 주제로 정확한 보철을 위한 스캔데이터 확인과 데이터를 이용한 진료실과 기공소 간의 소통, 스캔데이터를 편집해 정확도를 높인 보철 제작을 위한 노하우에 대해 강의 했다.

인천 정원치과 이연지 진료실장은 ‘디지털로 하나되는 우리 치과 보철 시스템’이라는 주제로 치과위생사와 치과기공사가 서로 작업하는 방식을 이해하고 진료실과 기공소 간의 소통 시스템에 대해 알아가는 시간을 가졌다.

 

대구보건대학교 이희경 교수, JD치과기공소 장일환 대표, 예쁜치아디자인 임선형 연자, 김정욱 연자, JDK치과기공소 박예인 대표, 에이블덴탈랩 심규현 대표, 대전 더 스마일 치과기공소 신경욱 대표, 홍성수치과 전영진 기공실장이 단계별로 ‘악안면보철물 제작 basic Hands-on’이라는 실습 강의를 진행했다. 해당 강의는 악안면보철물 제작을 이해하고 basic course로 실리콘 귀 제작과정 중 알지네이트 인상채득, 작업모형 제작, Wax up, 3단계 매몰, Wax Wash, Silicone Pouring, Silicone Coloring단계를 직접 실습에 참여해 악안면보철물을 완성하는 목표를 두고 실습 강의를 진행했다.

 

2024 GDTEX 시상식
학술대회 마지막 시간에는 회원 수상과 학생 경진대회 수상식이 진행됐다. 대한치과기공사협회 모범회원 표창으로 대한치과기공학회 박연경 정책부회장, 심미치과기공학회 최문경 재무이사가 수상했다.

이어 대한치과기공학회 김지현 홍보이사, 치과도재기공학회 이민우 부회장, 악안면보철기공학회 채동희 재무이사, 치과기공기재학회 황정열 수석부회장, 치과캐드캠기공학회 박성혁 기공이사, 가철성치과기공학회 강월 대외협력이사, 치과교정기공학회 이동규 협력이사가 대한치과기공학회 우수회원 표창을 수상했다.

 

시상식에 이어 대한치과기공학회와 한국치기공학과 교수협의회의 MOU 채결식이 진행됐으며, 체결식에 대한치과기공학회 송두빈 회장과 한국치기공학과 교수협의회 황성식 회장이 서명했다. 경기도치과기공사회 회장 표창 우수 회원상으로 김택정, 이정미, 홍주원, 원재필, 안재원, 정홍신 회원이 수상했다.

 

이번 2024 GDTEX 학생경진대회는 관교의치와 총의치 제작 분야로 진행됐으며, 대상으로 신구대학교 서형원, 부천대학교 유나연, 최우수상으로 경동대학교 진명환, 신구대학교 허예은, 우수상으로 경동대학교 전민경, 신구대학교 이예은, 신구대학교 박혜인, 신구대학교 박희경, 장려상으로 동남보건대 여태관, 신한대학교 이정민, 동남보건대학교 구나영, 신한대학교, 김다영, 신구대학교 이준규, 부천대학교 이정은, 신구대학교 국수정, 부천대학교 주은지, 경동대학교 김해진, 동남보건대학교 김진호 학생이 수상을 받았다.

 

학생 경진대회 수상에 이어 희망 나눔 장학금 전달식에서는 동남보건대학교 이샛별, 서채호, 부천대학교 박경민, 문나영, 신구대학교 홍성민, 김지원, 신한대학교 정다운, 김만기 학생이 장학금을 전달받았다.

 

마지막으로 회원 경품행사가 진행됐으며, 다양한 경품 추첨과 학생 추첨이 끝나고 마지막 1등 경품 추첨이 진행됐다. 1등 경품은 자동차 캐스퍼였으며, 해당 경품의 주인공은 라종진 회원이 당첨됐으며, 경품 추첨이 끝난 후 2024 GDTEX 행사는 성대한 막을 내렸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